미국(5)
-
트럼프, 전세계 상대 '관세전쟁' 시작…韓도 처음 대상에 올라
대미 수출국 중 韓 철강 6위, 알루미늄 4위로 타격 불가피 전망이번 조처는 '신호탄'…내달 2일 상호관세, 반도체·車 관세도 예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드디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의 방아쇠를 당겼다.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서명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관련 포고문의 효력이 미국 동부시간으로 12일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되면서다.지난 1월 20일 취임하면서 집권 2기 행정부를 출범시킨 그는 그간 수도 없이 '관세'를 언급해왔지만, 취임 후 제대로 관세를 부과한 나라는 사실상 글로벌 패권 경쟁국인 중국 한 곳뿐이었다.지난달 4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가 시행됐고, 이달 4일에는 여기에 10%를 추가로 부과했다.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2025.03.12 -
美-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美·러 곧 소통…종전협상 분수령
미-우크라 9시간 회담 후 공동성명…트럼프 "푸틴, 휴전 동의하길"美, 끊었던 對우크라 정보공유·안보지원 재개…"공은 러 코트에"젤렌스키 "우린 준비됐다…우리 주장 이해한 美, 러 설득해야" 촉구미국과 우크라이나가 1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 이후 3년여 계속 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평화 협상 중재자로 나선 미국이 러시아와 금명간 당국자간 협의, 주중 정상간 전화 통화 등을 통해 러시아의 휴전안 수용을 설득할 예정인 가운데, 러시아가 휴전안에 동의하면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잠정적으로나마 처음 포성이 멎게 된다.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상 미국), 안드리 예르마크 대통령 비서실장, ..
2025.03.12 -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수도…우크라도 종전협상 관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을 논의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곧 만날 수 있으며, 종전 협상에는 우크라이나도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백악관 풀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푸틴 대통령과 만나는 시점에 대해 질문받고서 "시간을 정하지는 않았지만, 매우 곧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번 달에 만나냐는 질문에 "곧 이뤄질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답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12일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고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을 위한 대화에 젤렌스키 대통령도 관여하냐는 질문에 "그도 관여할(be involved)..
2025.02.17 -
휴가철에 가장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베스트 5
하와이, 미국 하와이는 아름다운 해변과 화산 경치로 유명하며, 와이키키 비치와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이 특히 인기 있습니다.서핑, 하이킹, 스노클링 등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습니다. 몰디브몰디브는 청록색 바다와 고급 리조트로 유명합니다. 신혼여행지로도 인기가 높으며,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을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 파리, 프랑스파리는 로맨틱한 분위기와 역사적인 명소로 유명합니다. 에펠탑, 루브르 박물관, 노트르담 대성당 등 유명한 관광지를 방문하고, 고급 레스토랑과 카페에서 프랑스 요리를 맛볼 수 있습니다. 발리, 인도네시아발리는 아름다운 해변과 독특한 문화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우붓의 예술과 문화, 꾸따의 해변, 다양한 스파와 웰니스 리조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산토리니, 그리스..
2024.07.09 -
북한 '뒷배' 중러의 협공… 尹 '가치외교' 기로에 서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미국을 국빈 방문한다. 동맹 70년을 맞아 한미관계를 한 단계 높이고 북한의 도발위협을 억제할 기회다. 하지만 러시아에 이어 중국이 전면에 등판하면서 판이 꼬였다. 양국은 핵심 이익인 우크라이나와 대만 문제를 거론한 윤 대통령의 발언을 빌미 삼아 한국을 노골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북한의 뒷배를 자임하며 지원사격에 그치던 과거와 다른 모습이다. 자유와 민주를 앞세운 윤 대통령의 '가치외교'가 시험대에 올랐다. 러시아는 한국을 '적대국가'로 못 박았다. 중국은 '엄정교섭'을 제기하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이 19일 공개된 로이터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고, 중국과 대만 문제를 전 세계적 사안으로 규정하자 기다렸다는 듯 함께 달려들었다. 윤 대통령 인터뷰..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