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13)
-
美-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美·러 곧 소통…종전협상 분수령
미-우크라 9시간 회담 후 공동성명…트럼프 "푸틴, 휴전 동의하길"美, 끊었던 對우크라 정보공유·안보지원 재개…"공은 러 코트에"젤렌스키 "우린 준비됐다…우리 주장 이해한 美, 러 설득해야" 촉구미국과 우크라이나가 1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 이후 3년여 계속 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평화 협상 중재자로 나선 미국이 러시아와 금명간 당국자간 협의, 주중 정상간 전화 통화 등을 통해 러시아의 휴전안 수용을 설득할 예정인 가운데, 러시아가 휴전안에 동의하면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잠정적으로나마 처음 포성이 멎게 된다.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상 미국), 안드리 예르마크 대통령 비서실장, ..
2025.03.12 -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수도…우크라도 종전협상 관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을 논의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곧 만날 수 있으며, 종전 협상에는 우크라이나도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백악관 풀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푸틴 대통령과 만나는 시점에 대해 질문받고서 "시간을 정하지는 않았지만, 매우 곧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번 달에 만나냐는 질문에 "곧 이뤄질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답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12일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고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을 위한 대화에 젤렌스키 대통령도 관여하냐는 질문에 "그도 관여할(be involved)..
2025.02.17 -
'개죽음 대신 투항'…우크라, 포로 나온 북한군에 공중 전단살포
우크라군 심리전 본격화…'저승사자' 드론 향한 공포 자극러 '총알받이' 전술…러군 보호막 투입되는 북한군 사상 속출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 포로가 나오기 시작한 상황에서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을 상대로 심리전에 계속 집중하는 것으로 전해졌다.러시아군 지휘를 따라 '총알받이'로 스러지지 말라는 호소로 전사자 급증 속에 의도대로 대규모 귀순을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 병사들을 겨냥해 투항을 권유하는 전단을 공중에서 살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고 영국 데일리메일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북한군 진지에 살포된 전단에는 "무의미하게 죽지마라! 항복하는 것이 사는 길이다"라고 적혔다. 전단이 어떤 언어로 작성됐는지는 언급되지 않았다.우크라이나는 북한군 파병이 ..
2025.01.13 -
"러 파병 북한군, 지뢰밭 걷기 투입…'인간 지뢰탐지기'로 이용"
우크라군 증언…"북한군, 생포 거부하고 죽을 때까지 싸우려해"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돕기 위해 파병된 북한군 병사들이 사실상 '인간 지뢰 탐지기'로 이용되고 있다는 우크라이나군의 주장이 나왔다.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최근 러시아 쿠르스크주 마흐놉카 마을에서 북한군과 교전한 우크라이나군 제33 분리돌격대대 '빅 캣츠'의 중령 '레오파드'의 증언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레오파드은 "북한은 '고기분쇄' 전략을 갖고 있다"며 "우크라이나인들이 지뢰 제거 차량을 투입하는 곳에, 그들은 그저 사람을 이용한다"고 주장했다.이어 "그들은 서로 3~4m 떨어져 일렬로 걸어간다"며 "한 사람이 폭파되면 의료진이 뒤따라가 시신을 수거하고, 사람들은 차례로 그것을 계속한다"고 설명했다.레오파드는 "그..
2025.01.10 -
러 "한국 살상무기 우크라 공급시 모든 방법으로 대응"
러 외무차관 "한국, 무모한 조치 자제하라" 러시아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24일(현지시간) 경고했다.타스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한국산 무기가 러시아 시민을 살상하는 데 사용되면 양국 관계가 완전히 파괴될 수 있다는 점을 한국이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우리는 물론 필요한 모든 방법으로 이에 대응할 것이고 이것이 한국 자체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도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이 상황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이같은 '무모한 조치'를 자제하라고 압박했다.이어 "한국 정부가 단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외부의 유혹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국익을 우선으로 고려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024.11.25 -
"러 쿠르스크에 북한군 집결중"…정부, 美·나토 대응논의 속도
정부대표단, 28일 브뤼셀서 나토 브리핑…모니터링단·신문단 파견 협의 가능성한미 국방장관, 30일 워싱턴에서 SCM 열고 대응 논의러시아를 돕기 위해 파병된 북한군이 격전지인 쿠르스크에 집결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도 미국,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대응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러시아 남서부 쿠르스크는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8월 6일 진입, 일부 영토를 점령하고 러시아군과 교전 중인 접경지역이다.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북한군 수천명이 지난 23일 쿠르스크에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반격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5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북한군의 전투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정부 대표단이 28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 본부에서 열..
2024.10.28